“평생 한 마을, 한 교회 – 믿음 지킨 삶의 자리"

  • 김광회 집사님
    1948년 12월 15일에 핀 꽃


...

78년 삶, 행암교회의 살아있는 역사 – 김광회 안수집사 이야기

"후련하다." 김광회 안수집사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인생 이야기를 풀어놓은 뒤 이렇게 짧고도 깊은 소감을 밝혔다. 1948년생인 그는 충남 행암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거의 80년에 가까운 세월을 그곳에서 보내며 행암교회의 살아있는 역사가 되었다.

삶의 터전, 행암의 뿌리깊은 이야기

김광회 집사님은 1948년, 행암마을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이 마을을 떠난 적이 없다. 지금은 허물어진 옛 기와집이 그의 출생지였고, 지금도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살아가고 있다. 김광회 집사님의 고향은 단순한 주거지가 아닌, 삶의 모든 순간이 새겨진 터전이다. 평생을 이곳에서 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집사님은 이 마을을 ‘오지 마을’이라고 설명하며, 산간 지대 특성상 물이 귀했으나 상수도는 비교적 일찍 들어온 편이라고 회상한다. 6.25 전쟁 당시 이곳은 피난처 역할을 했고, 송시열(송수혜리)이 과거를 보러 지나갔다는 전설 속 ‘낙수정’이라는 바위 이야기도 전해지는 곳이다.

...

사랑과 화목으로 지켜온 53년 결혼생활

집사님은 1971년 12월, 지금의 권사님을 만나 스물네살의 나이에 결혼했다. 그리고 53년의 세월 동안 단 한 번의 말다툼 없이 2남 2녀의 4남매를 길러냈다고 말한다. 자녀들은 모두 장성하여 가정을 이루었으며, "다 믿는 가정"을 이루어 부모에게 큰 기쁨이 되었다. 경찰인 큰 사위만 바쁜 업무 탓에 교회에 잘 다니지 못하지만, 다른 사위와 며느리들은 모두 교회 직분자들이다. 자녀들이 "다 좋은 짝을 만나 가정을 잘 이룬 것"을 가장 큰 복으로 여긴다고 전하며, 현재 아홉 명의 손자 손녀를 둔 할아버지, 할머니가 되었다.


신앙의 여정, 가족을 위한 헌신으로 시작되다

놀랍게도 김광회 집사님은 결혼 전까지 신앙생활을 하지 않았다. 1971년 결혼 당시에는 마을에 교회가 없어 1년 정도는 교회에 나가지 못했다고 한다. 그의 신앙은 2001년, 본격적으로 교회를 다니기 시작했다. 그는 아내의 신앙생활을 반대하기보다 "가족 분위기를 맞추는" 사람이었다. "좋은 게 좋다고" 여기는 그의 성품은 가족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평화를 지키려는 태도로 이어졌다. 집사님은 아내와의 삶에서 "지금까지 살면서 싸우고 한 적이 없고," 덕분에 자녀들이 잘 자란 것 같다고 회상한다.


...
...

행암교회의 산증인, 세 번의 건축 봉사

김광회 집사님은 행암교회와의 깊은 인연을 자랑한다. 교회가 제대로 자리 잡기 전부터 무려 세 번의 교회 건축에 참여했다. 특히 ‘사랑반’ 건물을 지을 때는 직접 땅을 사서 봉헌하기도 했다. 과거 흙벽돌로 지어진 교회가 벽돌 교회로 새로 지어질 때도, 블록 쌓는 일을 돕는 등 적극적으로 힘을 보탰다. 당시 돈이 없어 판넬을 얹어 바람에 넘어갈 뻔하는 등 어려움이 많았지만, 집사님의 노력 덕분에 교회가 오늘날까지 견딜 수 있었다고 한다. 내년이면 50주년을 맞이하는 행암교회가 올해 리모델링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에 대해 그는 큰 보람을 느낀다. "제가 행암교회의 역사"라고 자신을 소개할 만큼, 수십 년간 농사지은 쌀을 교회에 헌납하며 물질적인 헌신을 아끼지 않았다. 교회를 위해 헌신했음을 언급하며 교회를 향한 그의 깊은 사랑을 엿볼 수 있게 했다.


자녀들을 위한 헌신과 그 속의 보람

젊은 시절 집도 없이 남의 집에서 결혼 생활을 시작했던 김광회 집사님은 4남매를 대학까지 가르치면서 "안 해본 고생이 없다"고 말한다. 부부가 맞벌이를 하느라 아이들이 어린 시절 대문 앞에서 부모를 기다리다 잠드는 날도 많아 늘 미안함을 품고 살았다고 고백한다. 그는 어려운 형편에도 아들들에게는 집을 사주고, 딸들에게는 몇천만 원씩 보태주는 등 자녀들을 위한 헌신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헌신은 헛되지 않았다. 자녀들은 부모님의 고생을 알아 "여태껏 돈 달라 소리를 한 번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받은 돈을 다시 돌려주거나, 집안에 필요한 침대, TV, 안막이 등 가구나 살림을 상의하여 직접 사다 놓는 효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집사님에게 "큰 보람"이 되었다. 가족이 함께 여행을 가는 등 화목한 모습은 그에게 가장 큰 기쁨이다.


...
...

"좋은 게 좋다고" 평생의 지혜로 일군 삶

김광회 집사님의 삶의 철학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깊다. 그는 "가정이 그 형제들이 우애가 좋아야지," 첫째는 믿음 생활을 잘해야 되고 다음에는 그 가족 간의 우애가 좋아야 한다 고 강조한다. 또한 그는 나이가 들어서도 손주들에게 용돈을 주기 위해 돈이 있어야겠다는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들에게는 "교회 잘 믿고 성실하게 살아라"는 덕담을 건넨다. 현재 78세의 나이에도 김광회 집사님은 여전히 고추 농사를 많이 짓고 있으며, 권사님 또한 주일을 제외하고 매일 '순대 기술자'로 일하고 있다. 예전에는 몸이 단단하고 남보다 일을 잘했지만, "올해부터는 몸이 안 좋아지는 것을 느끼며 건강을 걱정하고 있다"고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현재 그의 가장 큰 걱정은 "두 내외의 건강"이다.


담백한 진심, 사랑과 감사의 메시지

인터뷰를 마치며 김광회 집사님은 "삶의 이야기를 쭉 이야기해보니 후련하다"고 말한다. 카메라 앞에서 잠시 어색해했지만, 이내 진심을 담아 메시지를 전했다. 이제 78세가 된 그는 건강에 대해 걱정이 많다. 그는 삶의 마무리를 ‘하나님 앞에 신실하게’ 준비하고 있다. “이제는 마음이 후련하다”고 말한다. 지금 그가 바라는 것은 단 하나다. “자녀들이 성실하게, 신앙 안에서 잘 살아주는 것.” 이것이면 충분하다고 말하는 그의 마지막 고백이, 오래도록 여러분의 마음에 남기를 바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