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하기

인생화원 PICK







방신란 할머니

칠포리에서 자란 18세 처녀로 봉림불 청년에게 시집왔다. 그해에 6.25가 터졌다. 신혼시절을 온통 피난 다니다가 보냈다. 그 뒤 2남2녀를 낳았다. 자녀들은 다 결혼하여 부산과 포항으로 나가 살고 있다. 남편이 79세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다. 지금은 홀로 마을에 살명서 시금치 농사를 짓고 있다. 시금치를 수확하고 가공하는 일이 힘들기는 하지만 손자들 용돈을 주고 싶어서 일을 한다고 한다. 손자녀는 자주 오며 할머니의 건강은 양호하다고 한다. 길가 첫집 남편(63) 부인(59) 부부는 부인에게 병이 발견되어 대구의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갔으므로 면담을 하지 못했다.

고난 속 피어난 감사와 사랑

흥구 교회 정옥자 권사님의 15년에 걸친 신앙 여정이 펼쳐졌습니다. 육체적 고통 속에서도 감사와 사랑으로 신앙생활을 이어가는 권사님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합니다. 정옥자 권사님은 오래전부터 교회에 다니고 싶은 마음을 품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비록 어릴 때부터 정해놓고 교회를 다니지는 못했지만, 때때로 교회에 방문하곤 했으며, 그때마다 좋은 감정을 느꼈다고 회상했습니다. 그녀는 동네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미신적인 행위나 불공을 드리는 일은 일절 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이는 교회와 무관하게도 지켜왔던 자신만의 가치관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권사님에게 교회는 몸이 아프기 전부터 이미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던, 긍정적인 끌림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녀는 교회를 나오지 않았을 때조차도 늘 교회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도와 헌신의 삶:

어릴 때 여수에서 자랐어요. 우리 어머니와 외할머니는 정말 신앙심이 깊으셨죠. 어머니는 매일 아침마다 가정 예배를 드리면서 자녀들을 위해 기도하셨답니다. 그 덕분에 저는 어릴 때부터 신앙 생활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어요. 여수의 바닷가에서 놀면서도 어머니의 기도 소리를 들으며 자란 그 시절이 참 그립네요. 바닷가의 풍경과 어머니의 기도 소리가 함께 어우러져 제 어린 시절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어요. 이때 쌓인 신앙의 기초가 제 인생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은혜 아니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습니다

자신의 이름을 또박또박 말하는 권사님의 첫마디에는 묘한 단단함이 담겨 있었다. 1955년 서울 문래동에서 태어난 그녀의 삶은, 말로 다 할 수 없는 고난과 생존의 연속이었다. 어릴 적 계모의 학대로 인해 다리를 다쳤고, 그로 인해 평생을 장애를 안고 살아야 했다. 결국 경찰의 손에 이끌려 부평 성모 고아원에 맡겨지던 날, 그녀는 어린 나이에 부모의 존재를 마음에서 지워야 했다. 그곳에서 수녀님들의 손길 아래 수술을 받고 겨우 걸음을 뗐지만, 몸보다 더 아픈 것은 버려졌다는 기억이었다. “살라니까, 살라고 하시니까, 살아야 했어요.” 그녀는 그렇게 말했다. 누구도 그녀에게 살아야 한다고 강요하지 않았지만, 하나님은 그 생명을 포기하지 않으셨다. 누군가의 보호 없이 혼자 살아남기 위해, 그저 생존하기 위해 그녀는 무엇이든 해야 했다. 처음으로 삶을 이어가기 위한 선택은 “일”이었다. 몸이 불편한 그녀에게 안정적인 직장은 허락되지 않았기에, 그녀는 노점부터 노가다까지, 안 해본 일이 없다고 말했다. “포장마차도 했고, 나무장사도 했고, 그냥 닥치는 대로 했어요. 애들 굶길 수는 없잖아요.” 그녀는 엄마였기 때문이다. 문순선 권사님의 이야기는 화려하지 않다. 하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그 삶은 감히 누구도 쉽게 흉내 낼 수 없는 견고한 믿음의 여정이기도 하다. 신앙은 단 한 번에 시작되지 않았다. 어린 시절 천주교 고아원에서 흘러나온 찬송가와 기도 소리, 그리고 수십 년 후 홍성의 어느 전파상 사모님이 건넨 전도의 손길. 그 모든 만남은 권사님의 마음속 어딘가에 조용히 뿌리를 내렸다. 삶은 무너졌지만, 믿음은 서서히 다시 자라나기 시작했다. 문순선 권사님의 이야기는 그 누구의 것보다도 진솔하고, 그래서 더 따뜻하다. 버려졌지만 살아야 했고, 맨몸으로도 기어이 집을 짓고, 다시 하나님 앞에 서기까지—그녀의 인생은 ‘은혜’라는 단어로밖에 설명할 수 없다. 이제 그 여정을 따라가 보려 한다.

사랑과 믿음으로 꽃피운 삶의 여정

백합의 꽃말처럼 사랑과 헌신의 삶으로 가족을 위하여 살아온 영덕읍교회 박영자 집사님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곡강마을위치

곡강마을은 대한민국의 동해안 포항시 흥해읍에 있다. 포항시는 경상북도의 동남쪽에있으며, 영일만을 둘러싼 남북의 해안과 평지와 산맥을 포함하고 있다. 흥해읍은 포항 시가지의 북쪽에 있으며,현재의 포항 시가지가 형성되기 전에 이 지역의 중심도시였다. 지금도 청동기시대 이래의 많은 유적들과 옛 흥해군의 문화적 자취들을 가지고 있다. 곡강리는 행정구역상으로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곡강 1, 2, 3리로 구분되어있다. 자연마을로는 봉림과 새각단이 곡강1리이고, 동곡을 포함한 너구와 홍곡이 곡강2리이고, 봉림불과 곡강마을이 곡강3리이다. 곡강마을은 곡강2리 마을회관을 기준으로 북위 36도 06분 32초, 동경 129도 24분 24초에 있다. 지도상 위치는 경상북도 포항시의 북쪽에 있는 흥해읍의 일부이다. 1995년에 한동대학교가 곡강리의 맞은편에 개교하고, 2000년대에 영일만신항과 배후산업단지가 잇달아 개발되면서 곡강리는 교통상으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흥해읍에서 흥해 안들을 동쪽으로 가로질러 남송리 서원마을을 지나고 짓때이 고개를넘어서서 칠포까지 늘어선 마을들이 곡강리이다. 이 마을이 곡강리라고 불린 것은 곡강이 지나가는 마을이기 때문이며, 곡강은 비학산과 도음산에서 흘러온 물이 동해로 나가는 강의 이름이다. 동해에 도착하기 직전에 낚시봉 언덕에서 직각으로 꺾여 흐르기 때문에 강 이름이 곡강이 되었다.